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출산 휴가 / 육아 휴직 신청하세요!
    생활 꿀팁 2025. 10. 16. 11:48
    반응형

    출산 휴가 / 육아 휴직 신청하세요!

    출산 휴가 (출산전후휴가)

    • 임신 중인 여성 근로자가 출산을 앞두고 / 출산 후 일정 기간 쉬게 해 주는 법정 휴가야. (“출산전후휴가”)
    • 국내 법령 기준으로, 출산 전후 합산 90일의 휴가가 보장돼 있고, 미숙아 출산 시엔 100일, 다태아(쌍둥이 등)는 120일로 확대돼.
    • 단, 출산 후 최소 45일은 반드시 사용하도록 법에 규정되어 있어. 

    육아 휴직

    • 자녀가 일정 연령 이하일 경우, 부모가 자녀 양육을 위해 일정 기간 일에서 떠날 수 있는 제도야.
    • 우리나라는 보통 자녀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 대상으로 육아휴직 가능해. 
    • 부모 중 한 사람이 바로 일을 쉬는 구조라, 출산 이후 이어지는 보호막 같은 제도지.

    2. 출산 휴가 vs 육아 휴직 — 주요 차이점

    항목출산 휴가육아 휴직

     

    목적 출산 전후 회복 + 출산 보호 자녀 양육 보호 & 일·가정 양립
    대상 임신한 여성 근로자 자녀 양육 책임이 있는 근로자 (남녀 모두 가능)
    기간 기본 90일 (미숙아 100일, 다태아 120일)  법정 최대 1년 (자녀 1명 기준) + 부모 병행 가능 등 조정 가능성 있음
    급여 / 보상 “출산전후휴가 급여” 제도로 보전 (일부 조건 충족 시) “육아휴직 급여” 제도로 보전 (일부 기간에 일정 비율 지급)
    신청 시점 / 절차 출산 전후 휴가 시작 이전 또는 휴가 중 신청 / 일정 기한 내 신청 필요  휴직 시작 후 일정 기간 내 신청 가능, 종료 후 일정 기간 내 신청해야 함 

    3. 급여 / 지원 내용

    급여 보전 규정이 복잡해서 세부적으로 알아야 해.

    출산 휴가 급여 (출산전후휴가 급여)

    • 휴가기간 중 최초 60일(다태아는 75일) 은 유급휴가로 보장되며, 통상임금 기준 100% 지급 대상이야.
    • 그 외 나머지 기간 (예: 기본 90일 중 마지막 30일) 은 정부가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급여를 지원하는 형태야.
    • 상한액: 출산전후휴가 급여의 통상임금 기준 상한액은 630만 원 (90일 기준) 이며, 미숙아 출산 시엔 상한액이 더 높게 설정됨.
    • 다태아의 경우 총 휴가 120일 기준 상한액 840만 원으로 정해져 있음.
    • 단, 출산휴가 급여 신청은 휴가 종료 후 12개월 이내로 해야 함. 

    육아 휴직 급여

    • 육아휴직 급여는 기준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처음 3개월은 80%, 그 이후 기간은 50% 수준 보전됨. 상한액 및 하한액이 정해져 있음. 
    • 예를 들면 상한액 150만 원, 하한액 70만 원 등이 적용되는 경우 있음.
    • 2025년부터 제도 개선되어, 초기 육아휴직 기간에 더 높은 급여 보전율 적용하는 방안이 확대됨. (예: 첫 3개월 월 250만 원 상한 등)
    • 육아휴직 종료 후 6개월 이상 계속 근무할 경우 **급여의 25%**를 일시불로 지급하는 조건이 있음.

    4. 신청 방법 & 절차

    각 제도 신청 절차 잘 알아두면 까먹는 일 없지.

    출산 휴가 급여 신청

    • 신청 주체: 여성 근로자 (임신 중 / 출산 후)
    • 신청 기한: 휴가 시작 후 일정 기간이 지난 뒤부터 ~ 휴가 종료 후 12개월 이내 신청해야 함. 
    • 신청 방법: 거주지 또는 사업장 소재지 관할 고용센터 방문 / 우편 / 온라인 신청 가능함. 
    • 제출 서류:
       • 출산전후휴가 급여 신청서
       • 출산전후휴가 확인서
       • 통상임금 산정 관련 자료 (임금대장, 근로계약서 등)
       • 휴가 기간 중 사업주로부터 받은 금품 내역 등 
    • 사업주는 신청 내용을 검토하고 지급 여부 통지를 해야 함.

    육아휴직 급여 신청

    • 회사에 먼저 육아휴직 신청: 보통 휴직 시작일로부터 최소 30일 이전 통보 필요. 
    • 고용보험 급여 신청: 휴직 시작 후 1개월 경과 시 신청 가능하며, 종료 후 12개월 이내 신청해야 함. 
    • 신청 방법: 고용보험 홈페이지 / 고용24 / 고용센터 방문 또는 우편 접수 가능함. 
    • 제출 서류: 육아휴직 확인서, 급여 신청서, 통상임금 자료 등.

    5. 주의사항 & 팁

    • 출산전후휴가 급여를 신청하지 않으면 받을 수 있는 혜택 날아가니까 신청 기한 꼭 확인해야 해. 
    • 육아휴직 급여 일부는 조건부 지급되므로 복직 여부나 근속 조건 잘 봐야 함.
    • 여러 제도 (출산휴가 + 육아휴직 + 배우자 출산휴가 등) 조합해서 활용 가능하니까 계획적으로 사용하면 좋아.
    • 회사가 우선지원 대상기업인지 여부, 대기업 여부 등 근로여건에 따라 부담 주체 / 급여 지급 체계가 달라질 수 있어.
    • 통상임금 산정 기준이 중요해 — 수당 / 상여금 포함 여부 등 확인해 두자.
    • 제도 변경 / 법 개정 가능성이 있으니까 고용노동부 공지나 일생활균형 부서, 고용센터 공지 주시하는 게 좋습니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