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P

제조관리기준서 작성법

까칠한이과장 2025. 8. 15. 23:59

1. 제조관리기준서의 정의와 필요성


제조관리기준서는 제조 과정 전반을 표준화하여 일관된 품질을 유지하고, 규제기관이 요구하는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를 충족하기 위한 핵심 문서입니다. 제약, 식품, 화장품, 의료기기 산업에서는 반드시 작성·운영해야 하는 필수 기준서로, 원료의 입고부터 완제품 출하까지 모든 과정을 규정합니다. 이 문서의 존재 목적은 단순히 규정을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현장에서 누구나 동일한 절차로 작업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품질의 변동을 최소화하는 데 있습니다. 또한, 제조관리기준서는 규제기관의 감사나 품질 심사 시 기업이 GMP 준수 여부를 입증하는 근거 자료가 됩니다. 특히 제약 분야에서는 의약품 안전성과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제조 단계별 세부 사항을 명확하게 기술해야 하며, 이를 통해 생산 과정에서의 오류, 오염, 혼합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제조관리기준서 작성법


2. 제조관리기준서 구성 요소와 기본 틀


제조관리기준서를 작성할 때는 체계적인 구성과 명확한 항목 구성이 필수입니다. 일반적으로 포함되는 항목은 목적, 적용범위, 용어정의, 책임과 권한, 제조공정 개요, 세부 제조 절차, 작업 환경 기준, 위생·안전 규정, 기록 및 보고 방법입니다. 특히 세부 제조 절차에는 공정별 단계와 필요한 장비, 사용 원료, 작업 조건(온도, 습도, 시간 등)을 구체적으로 기록해야 하며,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존하지 않도록 시각 자료(사진, 도면, 표)를 포함하는 것이 좋습니다. 문서구성은 일관된 포맷과 번호 체계를 유지해야 하며, 각 절차의 변경 시 반드시 변경이력을 기록합니다. 또한, 용어 정의를 통해 혼동을 방지하고, 각 단계의 책임자를 명시함으로써 업무 수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합니다.


3. 제조관리기준서 작성 절차와 승인 프로세스


제조관리기준서는 일반적으로 생산 부서 또는 공정 전문가가 초안을 작성하고, 품질보증(QA) 부서가 이를 검토·보완하는 구조로 진행됩니다. 초안 작성 단계에서는 실제 제조 현장을 충분히 분석해, 절차가 현장 상황과 일치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이후 검토 단계에서는 문서의 완전성, 정확성, 규정 준수 여부를 점검하며, 필요 시 현장 실험이나 시범 생산을 통해 절차의 실행 가능성을 평가합니다. 승인 단계에서는 제조 부서 책임자, 품질보증 부서장, 경영진 등 지정된 승인자가 최종 서명을 하며, 이 과정을 통해 공식 문서로 발효됩니다. 승인 이후에는 제조현장에 배포되고, 모든 관련 작업자는 제조관리기준서의 내용을 숙지하고 교육을 받아야 합니다. 전자문서관리시스템(EDMS)을 활용하면 승인·배포·버전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4. 제조관리기준서 유지관리와 변경관리


제조관리기준서는 한 번 작성했다고 끝나는 문서가 아닙니다. 새로운 장비 도입, 원료 변경, 규제 요구사항 수정 등 제조 환경이 바뀌면 반드시 내용을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정기 검토 주기를 설정하고, 최소 연 1회 이상 검토를 실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변경관리(Change Control) 절차에 따라 사유를 기록하고, 변경 내용이 품질이나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후 재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변경된 문서는 즉시 현장에 배포하고, 이전 버전은 폐기하여 혼란을 방지합니다. 또한, 변경 사항에 따라 작업자 재교육을 실시하고, 교육 이력을 기록하여 규제 감사에 대비해야 합니다. 제조관리기준서가 최신성을 유지하고 실제 제조 과정과 일치할 때, 비로소 품질 보증의 핵심 도구로서 역할을 다할 수 있습니다.

'GMP'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정 밸리데이션 절차는 어떻게 될까?  (2) 2025.08.15
GMP 감사 대응 체크리스트  (3) 2025.08.15
SOP 작성 가이드  (2) 2025.08.14
GMP 문서관리 절차  (3) 2025.08.14
GMP란 무엇인가?  (11) 2025.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