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제네릭(Generic Drug)이란? 가짜약??GMP 2025. 8. 7. 13:25
1. “제네릭은 복제약인가요?” – 제네릭의 정의와 개념일반인이 ‘제네릭’이라는 용어를 들었을 때 가장 먼저 떠올리는 질문은 “복제약이란 말인가요?”일 것이다.결론부터 말하면, 제네릭(Generic Drug)은 단순한 복제가 아니라, 오리지널 의약품과 동등한 품질과 효능을 가진 대체 의약품이다.정확히는, 특허가 만료된 오리지널 약물과 같은 주성분을 사용하여, 같은 용량, 같은 제형으로 제조된 의약품이다.제네릭은 단순히 카피(copy)한 약이 아니다.식약처와 같은 규제기관의 허가를 받기 위해, **생물학적 동등성시험(Bioequivalence Test)**을 통해오리지널 약과 체내 흡수율, 효과 지속 시간 등이 통계적으로 동일하다는 점을 입증해야 한다.즉, 제네릭은 약물학적, 임상적 관점에서 오리지널과 '..
-
IQ, OQ, PQ는 무엇일까?GMP 2025. 8. 7. 09:52
1. “설치만 제대로 해도 절반은 성공” – IQ(Installation Qualification)의 핵심과 절차**IQ(Installation Qualification)**는 설비나 시스템을 현장에 설치할 때, 설계도면과 기술 사양서에 따라 정확히 설치되었는지를 검증하는 단계다.이 단계는 단순히 기계를 조립하는 것을 넘어서, 설비가 올바른 장소에, 올바른 조건에서, 올바른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기록으로 남기는 활동이다.IQ의 목표는 명확하다.“이 설비가 제조 현장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기반이 제대로 갖춰졌는가?”를 판단하는 것이다.예를 들어, 정제 타정기에 대한 IQ를 수행한다고 가정해보자.이때 검토해야 할 항목은 다음과 같다:설치 위치와 방향이 도면과 일치하는가?전기·공기·수 ..
-
"Verification" vs "Validation" 차이를 알아보자!GMP 2025. 8. 6. 22:46
1. “둘이 다른 건가요?” – 밸리피케이션과 밸리데이션의 정의와 핵심 차이제약산업에서 **GMP(우수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는 철저한 품질관리를 기반으로 한다.이 과정에서 자주 등장하는 핵심 개념이 바로 **밸리데이션(Validation)**과 **밸리피케이션(Verification)**이다.이 두 용어는 매우 유사하게 들리지만, 실제로는 목적과 적용 범위에서 명확한 차이가 존재한다.**밸리데이션(Validation)**은 사전 예방적 활동이다.특정 공정, 설비, 시스템, 방법 등이 일정한 조건에서 일관된 품질 결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사전에 입증하는 과정이다.예: “이 공정이 안정적인 제품을 계속 생산할 수 있을까?” → 시험과 문서화를 통해 증명하는 단계반면, **밸리피케이션(Verifi..
-
OROS정: 삼투압 기반 정밀 약물 방출 시스템의 모든 것GMP 2025. 8. 5. 16:55
1.OROS정이란? 삼투정 제형의 개요와 핵심 기술제약회사가 개발 및 생산하는 내용고형제 중에서 **OROS정(Oral Osmotic System)**은 약물의 방출 속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고급 제형 기술이다.OROS정은 ‘구멍 뚫린 정제’라는 별칭으로도 불리며, 정제 외부에 뚫린 아주 미세한 구멍을 통해 삼투압에 의해 약물이 천천히 일정하게 방출되는 정제를 의미한다.이 제형은 **Alza Corporation(현재 Johnson & Johnson 계열)**에서 처음 개발되었으며,주요 기술 원리는 약물 방출을 삼투압 원리에 기반해 조절하는 것이다.즉, 소화관 내 수분이 정제 내부로 유입되면, 삼투압이 형성되어 약물이 정제 외벽의 미세구멍을 통해 서서히 방출되는 구조이다.OROS정의 핵심은 방출 ..
-
소염진통제 vs 해열진통제 알고먹어야 효과 두배!건강 2025. 8. 5. 14:33
1. “아플 땐 무조건 진통제?” – 진통제의 종류부터 정확히 알자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진통제’라고 말할 때는 두통, 치통, 생리통, 근육통 등 다양한 통증을 떠올린다.그러나 실제 약물학적으로 보면 진통제는 그 작용 기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특히 약국이나 병원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진통제는 크게 **소염진통제(NSAIDs)**와 해열진통제(Antipyretic analgesics) 두 가지로 분류된다.소염진통제는 단순히 통증을 억제하는 데 그치지 않고, 염증을 동반한 통증에 효과적이다. 대표적으로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케토프로펜 등이 있다.반면, 해열진통제는 주로 발열과 통증을 동시에 조절하는 데 초점을 맞춘 약물로, 대표적으로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성분)**이 있다.많은 사람들이 “두통..
-
내용고형제, 방출이란 무엇일까?(약물전달 기술의 정점!)GMP 2025. 8. 5. 10:40
1.방출제제란 무엇인가? – 내용고형제 제형 설계의 핵심 기술제약회사가 개발하는 내용고형제 중 **방출제제(controlled release dosage form)**는 약물의 방출 속도나 위치를 제어하여 혈중 약물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목적으로 설계된 고급 제형이다.전통적인 정제나 캡슐은 복용 후 빠르게 용해되어 흡수되지만, 그만큼 약물의 혈중 농도가 급격히 상승하고 짧은 시간 내 소실되는 한계가 있다.이로 인해 복용 횟수가 늘어나거나 부작용 가능성이 커지는 단점이 존재한다.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약회사는 다양한 방출 조절 기술을 도입하여 정제를 설계해왔다.대표적인 방출제제로는 서방형(SR, sustained release), 지속형(ER, extended release), 지연형(DR, d..
-
내용고형제-(생산)코팅! 당의정을 알아보자!!GMP 2025. 8. 5. 06:15
제약회사 당의정 코팅업무: 전통과 기술이 결합된 고급 코팅공정1.당의정 코팅의 개요 – 내용고형제 중 ‘전통의 기술’로 불리는 이유당의정은 내용고형제 코팅 형태 중 가장 오래된 방식 중 하나로, 정제의 외부를 설탕층으로 둘러싸는 코팅 방식이다.이 방식은 단순히 정제를 보호하는 것을 넘어, 미관 향상, 맛 차폐, 유효성분 보호 등의 목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어 오랜 기간 사용되어왔다.**당의정(sugar-coated tablet)**은 기본적으로 정제 위에 시럽, 설탕, 광택제 등을 수차례 덧씌우는 반복적인 공정을 통해 제조되며,마치 사탕처럼 매끈한 외관과 달콤한 맛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이러한 특성은 특히 어린이나 약물 거부감이 있는 환자에게 복용 순응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이다.과거에는 거의 모든 정..
-
내용고형제-(생산)코팅은 무엇일까?GMP 2025. 8. 4. 21:09
1. 내용고형제 코팅공정의 정의와 역할 – 왜 코팅이 필요한가?제약회사에서 생산되는 대부분의 **내용고형제(solid oral dosage forms)**는 정제 형태로 제공되며, 이 정제들은 일정한 약효와 복용 편의성을 위해 **코팅공정(tablet coating)**을 거친다.코팅이란 정제의 외부에 얇은 필름층을 형성하여 기능을 부여하는 공정이며, 이 공정은 단순한 미관상의 처리를 넘어서 의약품의 품질과 안전성 확보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대표적인 코팅 목적은 다음과 같다:습기, 빛, 산소로부터의 보호: 정제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여 안정성을 높인다.위장관 방출 지연 또는 조절: 장용 코팅(enteric coating), 서방형 코팅(extended-release) 등맛, 냄새 차폐: 쓴맛이나 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