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P

내용고형제, 방출이란 무엇일까?(약물전달 기술의 정점!)

까칠한이과장 2025. 8. 5. 10:40

1.방출제제란 무엇인가? – 내용고형제 제형 설계의 핵심 기술

제약회사가 개발하는 내용고형제 중 **방출제제(controlled release dosage form)**는 약물의 방출 속도나 위치를 제어하여 혈중 약물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목적으로 설계된 고급 제형이다.
전통적인 정제나 캡슐은 복용 후 빠르게 용해되어 흡수되지만, 그만큼 약물의 혈중 농도가 급격히 상승하고 짧은 시간 내 소실되는 한계가 있다.
이로 인해 복용 횟수가 늘어나거나 부작용 가능성이 커지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약회사는 다양한 방출 조절 기술을 도입하여 정제를 설계해왔다.
대표적인 방출제제로는 서방형(SR, sustained release), 지속형(ER, extended release), 지연형(DR, delayed release),
그리고 보다 정밀한 설계를 포함한 삼투방출형(OROS) 등이 있다. (그외 CR정.IR정,ODT정)

방출제제는 약물의 약동학적 특성, 반감기, 투여 목적, 복용자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정밀하게 설계되며,
환자 순응도 향상, 복용 횟수 감소, 안정적인 약효 유지라는 장점을 제공한다.
특히 **만성질환 치료제(고혈압, 당뇨, 정신질환 등)**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며, 현대 제약 산업에서 중요한 영역으로 자리잡고 있다.

내용고형제, 방출이란 무엇일까?(약물전달 기술의 정점!)


2.방출제제의 종류 및 특성 – 서방형, 지속형, 지연형의 차이점

방출제제는 약물이 체내에서 방출되는 시간과 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뉜다.
이러한 제형들은 의약품의 목적에 맞춰 설계되며, 각각의 특성은 환자의 복약 편의성과 치료 효과에 직결된다.

 서방형 제제(Sustained Release, SR)

  • 약물이 일정한 속도로 천천히 방출되어 약효가 더 오래 지속되도록 설계
  • 보통 12~24시간 동안 효과 유지
  • 복용 횟수 감소, 혈중 농도의 변동 폭 최소화
  • 예: 서방형 혈압약, 항우울제

 지속형 제제(Extended Release, ER)

  • 서방형보다 방출 기간이 더 길며, 장시간 동안 일정 농도를 유지
  • 1일 1회 복용으로도 약효 지속 가능
  • 서방형과 개념은 유사하나, 제조 기술과 방출 패턴이 조금 더 정밀함

 지연형 제제(Delayed Release, DR)

  • 특정 시간 후 약물이 방출되도록 설계된 제제
  • 위에서 용해되지 않고 장에서 녹는 장용정(Enteric Coated Tablet) 형태가 대표적
  • 위산에 약한 약물 또는 위 자극이 있는 약물에 사용됨

방출제제는 단순히 코팅을 덧입히는 방식이 아닌, 기공 조절, 삼투막, 고분자 매트릭스 기반 등 고도의 제형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정제 내부 구조와 성분 배열에 따라 약물 방출 곡선이 달라지므로, 정밀한 설계와 제조공정이 필수적이다.


3. 방출제제의 제조공정 – 정밀 제형 기술의 실제 적용

방출제제의 제조는 단순한 정제 압축과는 달리, 약물 방출 제어를 위한 고급 제조 기술과 공정관리가 필요하다.
공정의 정밀도는 약효 지속성과 직결되므로, 제약회사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방출제제를 제조한다.

1. 고분자 매트릭스 기반 서방형 정제

  • 약물을 **고분자 물질(예: HPMC, PEO)**와 혼합하여 정제 형태로 압축
  • 체내 수분과 접촉 시 고분자가 젤을 형성하며 약물 방출 속도를 조절
  • 단일 정제로 구성 가능하고 공정이 단순하여 일반화에 용이

2. 다층정(Multilayer Tablet)

  • 속방층 + 서방층 또는 서방층 + 서방층 구조로 구성
  • 예를 들어, 약물의 일부는 빠르게 방출되고, 나머지는 천천히 방출되도록 설계
  • 다층정은 공정 난이도가 높지만 복합적인 치료 효과가 가능

3. 펠렛 기반 코팅 캡슐(Pellet Coated Capsule)

  • 소형 펠렛(과립)을 다양한 필름 코팅으로 감싸고 캡슐에 충전
  • 펠렛마다 서로 다른 방출 속도로 코팅되어 시간차 방출이 가능
  • 예: 항히스타민제, 위장약 등에서 자주 사용

이러한 공정들은 모두 **시간별 용출 제어(Dissolution profile control)**을 목표로 하며,
이를 위해 GMP 기반의 공정 밸리데이션, 중간품 시험, 방출속도 시험 등이 필수적으로 병행된다.
정밀 제형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약물의 용해도, pH 안정성, 매트릭스와의 상호작용까지 고려해야 한다.


4. 방출제제의 품질관리 및 GMP 관리기준 – 약효 지속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

방출제제는 약물 방출 속도 자체가 제품의 기능이기 때문에, 일반 정제보다 품질관리(QC)와 GMP 기준이 훨씬 까다롭다.
특히 약물 방출이 예상보다 빠르거나 느릴 경우, 치료 실패 또는 부작용 유발 위험이 존재한다.

주요 품질관리 항목:

  • 용출시험(Dissolution Test)
    • 방출 프로파일이 사전 설계값과 일치하는지 시간별로 검증
    • 서방형/지속형 제품은 일반 정제보다 시험 조건이 복잡하고 시간도 더 김
  • 정제의 경도, 두께, 무게 등 물리적 특성 검사
    • 방출 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제조 균일성 확보 목적
  • 방출모델 예측 및 시뮬레이션
    • 수학적 모델(예: 히기치 모델, 제로오더 모델 등)을 적용해 약물 방출을 예측
  • 온도 및 습도 안정성 시험
    • 환경 변화에 따른 약물 방출 이상 유무를 확인

방출제제의 GMP 관리 측면에서는 특히 교차오염 방지, 배치 간 이탈관리, 자재 보관 조건이 강조된다.
또한 제조 설비의 미세한 설정 오차가 약효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자동 제어 시스템 및 전자 기록관리 시스템(eQMS)**을 통해 실시간 공정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환자 입장에서 볼 때 방출제제는 복용 횟수를 줄여주는 편리한 의약품이지만, 제약회사 입장에서는
정확한 설계, 정밀한 제조공정, 엄격한 품질관리가 결합된 복합 고난이도 제품이다.
이러한 제형은 앞으로도 **맞춤형 약물 전달 기술(Precision Drug Delivery)**의 핵심 기술로 자리 잡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