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제약회사 생산 부서, 내용고형제 제조의 모든 것
    GMP 2025. 9. 22. 18:37
    반응형

    제약회사 생산 부서, 내용고형제 제조의 모든 것

    1. 의약품 생산 부서의 역할

    제약회사의 생산 부서는 단순한 공장이 아니라, 연구실에서 탄생한 약물이 실제 환자에게 전달되는 다리 역할을 하는 곳이에요. 흔히 정제나 캡슐은 “틀에 찍어내면 되는 거 아냐?”라고 생각하지만, 사실상 이 과정은 정밀 과학과 데이터 기반 기술이 융합된 복잡한 시스템이에요.

    생산 부서에서는 원료의약품(API)과 보조 성분(부형제)이 섞이고, 입자 크기와 습도, 압력과 온도 같은 변수가 모두 계산되어야만 최종 제품이 안정적으로 완성돼요. 그래서 이곳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단순히 기계를 다루는 게 아니라, 품질 관리자이자 문제 해결사로서 매 순간 예리한 판단을 내려야 하죠.

     


    2. 내용고형제 생산 공정, 생각보다 복잡하다!

    내용고형제는 우리가 흔히 먹는 정제, 캡슐, 과립 같은 제형을 말해요. 이 생산 과정은 보통 조제 → 과립 → 건조 → 혼합 → 타정 → 코팅 → 포장 순서로 흘러가요.

    • 조제 단계에서는 API와 부형제를 섞어 균일한 혼합물을 만들어요.
    • 과립 공정은 습식 혹은 건식으로 나뉘는데, 습식은 유동층 건조기 같은 특수 장비가 필요해요.
    • 건조와 체가름을 거친 입자는 혼합기로 옮겨지고, 이후 타정기로 넘어가 정제가 찍혀 나옵니다.
    • 마지막 코팅 공정에서는 정제가 위에서 녹지 않게 보호막을 씌우거나, 맛과 냄새를 줄이는 역할을 해요.

    이 모든 과정은 **GMP(우수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에 따라 운영되고, 자동화 장비와 사람이 함께 검사하며 한 치의 오차도 허용되지 않아요.

     


    3. 공정 속 변수와 품질 통제

    사실 생산 현장은 단순히 버튼만 누르는 곳이 아니에요. 예를 들어 과립 입자 크기가 너무 크면 건조가 고르지 않고, 타정 시 약효 성분이 불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어요. 또 타정 공정에서 흔히 발생하는 ‘캡핑 현상’(정제 윗부분이 들뜨거나 갈라짐)이 생기면, 타정 압력·펀치 마모·회전 속도까지 전부 점검해야 해요.

    그래서 생산 부서 직원들은 매 순간 데이터를 해석하고 원인을 추적해야 합니다. 한 배치에서라도 문제가 생기면 수천만 원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에, 긴장감 속에서 일하는 거죠. 모든 과정은 BPR(Batch Production Record, 제조기록서)로 꼼꼼히 남기고, QA팀과 긴밀히 협업해 최종 제품이 안전하게 시장에 나갈 수 있도록 책임을 져요.

     


    4. 단순 노동이 아닌, 고도 기술직

    많은 분들이 제약회사 생산직은 단순 반복 업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제약 기술 + 기계 제어 + 품질 개선 + 공정 개발이 결합된 전문 직무예요.

    요즘 제약업계는 자동화와 스마트공정으로 빠르게 변하고 있어요.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같은 전자 기록 시스템, 실시간 품질 모니터링(PAT), 설계기반 품질(QbD) 같은 최신 기술이 도입되고 있죠. 이런 환경에서 일하면 자연스럽게 공정 엔지니어, 기술지원, 생산관리자로 성장할 수 있고, 나아가 CMO(위탁생산) 품질책임자까지 커리어를 확장할 수 있어요. 실제로 해외 제약사들은 생산 경력자를 높은 연봉으로 스카우트하기도 해요.

     


    5. 현장의 생생한 가치

    제가 현장에서 느낀 건, 생산 부서는 ‘의약품을 만드는 사람’ 이상의 가치를 가지고 있다는 거예요. 환자가 안전하게 약을 복용할 수 있도록 보이지 않는 곳에서 지켜내는 최후의 보루가 바로 생산팀이에요. 작은 실수도 허용되지 않는 긴장감은 힘들지만, 반대로 그만큼의 보람과 성취감도 크답니다.

     


    ✅ 마무리

    오늘은 제약회사 내용고형제 생산의 전 과정을 차근차근 살펴봤어요. 단순히 “알약 찍는 과정”이 아니라, 정밀 과학과 최신 기술이 집약된 고도화된 업무라는 점, 그리고 그 속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가치와 커리어 확장 가능성까지 다뤄봤습니다.

    제약업에 관심 있는 취준생, 커리어 전환을 고민하는 분들, 혹은 단순히 알약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궁금했던 분들께 도움이 되었길 바라요.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